회원가입
OK 글로벌 캠페인
하나의 코리아 One Korea의 약자가 O.K.라는 것에 착안하여 만국 공용어인 '오케이'를 하나의 코리아를 지지하는 상징으로 만들어 가자는 캠페인 입니다.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오케이' 손 모양으로 세계 모든 사람들이 ONE KOREA, 통일 한국을 지지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OK 캠페인으로 하나의 코리아에 대한 긍정적 물결을 세계에 확신시켜 지구촌 곳곳에서 울려 퍼지는, ONE KOREA를 위한 함성을 만들어 나갑니다.
AOK 평화보자기 캠페인
하얀색 한반도에 세계 각국어로 '평화'를 새긴 평화보자기를 깃발, 스카프, 보자기로 일상생활에 활용하여 지구촌에 통일 염원을 확신시키는 캠페인
입니다.
디자인의 의미
1) 하얀색 한반도 - 남북은 이념을 초원하여 서로 마음을 비우자 라는 뜻 입니다
2) 세계 각국어로 쓴 평화 - 평화를 염원하는 세계인들과 함께 통일 코리아를 꿈꾸고 실현하자 라는 뜻 입니다.
3) 보라색 글씨 - 남과 북을 조화롭게 혼합한 색으로 남북의 장점을 취합니다.
AOK 한국은 2019, 2020, 2021 3년간 서울시 시민참여형 평화통일교육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해마다 약 6개월에 걸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3년 연속 우수단체로 선정되었습니다.
시민참여형 평화통일교육 <영화와 문화로 나누는 통일이야기> (2019)
'사람이 하늘이다' 등 다양한 시각의 영화를 함께 보고 토론하는 프로그램으로분단 바로 보기, 남북 바로 보기, 트라우마 치유, 민족 공통성 발견, 우리는 다시 하나 등 다섯 마당으로 구성된 포괄적인 통일 공감 교육
<영화와 문화로 나누는 통일 이야기> (2019)
'사람이 하늘이다' 등 다양한 시각의 영화를
함께 보고 토론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단 바로 보기, 남북 바로 보기, 트라우마 치유,
민족 공통성 발견, 우리는 다시 하나 등
다섯 마당으로 구성된 포괄적인 통일 공감 교육 입니다.
<행당동 115번지> (2020)
연극연출가 김은희 기획 제작,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춤연극 (Dance theater)으로 분단과 이산의 아픔을
표현하여 큰 감동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더 좋은 통일을 조금 더 빨리> (2021)
방북 활동가들의 '북 바로 알기' 강연과 DMZ 탐방,
통일비전 세미나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
다양한 분야의 방북활동가들의 경험과
북녘의 모습을 공유하는
'북 바로알기' 사업은 줌 화상교육으로 진행하여
지구촌 곳곳의 동포들이 참여해
통일에 대한 공감과 의지를 확대해 나갔습니다.
AOK 역사교실 (2016년부터)
AOK 미국은 역사적 정체성과 겨레의 동질성을
회복하자는 취지에서 '북한 바로 알기' 교육과
'근현대사' 역사교실을 78차례 진행하였으며
2019년 '원 코리아 아카데미' 사업으로 확대하여
봄과 가을 연속 강의 시리즈를 기획하고 진행했습니다.
해외 각국 동포들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AOK는 내국인보다 자유스럽게
북을 방문할 수 있는 재외동포들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재미동포 방북단을 구성해 남북교류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초부터 코로나 사태로 방북이 멈춰있는 상황)
2018년 하반기 강며구 유라시아평화마라톤 환영을 위한 방북단 조직
2018년 11월 권용섭, 어영난 화백의 북 현지 수묵화 퍼포먼스 등 미술을 통한 북녘 알리기 운동
로창현 기자의 '북 바로알기' (2018년부터 4차례 방북) 활발한 강연 및 저작활동
2021년 9월 로스앤젤레스에서 로창현기자 출간기념회
<평양여자 서울남자 길을 묻다>
AOK는 한반도 평화와 분단문제를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국제 연대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분단 70년이 되는 2015년, 남북의 화해와 평화를 위해
국제 여성 평화활동가 30명이 북에서 남으로 분단의 선을
종단하는 국제적 행사에 참여하는 등 우먼크로스DMZ
평화활동에 적극 연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 활동가들과 2015년 10월
워싱턴 DC에서 코리아 피스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미의회에 한반도 평화문제를 설득, 홍보하는 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유엔의 이름으로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역사적으로 정치적으로
정당성이 없는 문제제기 하는) '가짜 유엔사' 해체 국제 캠페인의
일원으로 2019년부터 국내외 활동을 했습니다.
2019년 10월에는 유엔사무총장에 유엔사 문제제기를 위한
기자회견은 뉴욕에서 진행을 했습니다.
2021년 10월에는 '유엔사령부의 실체와 문제점'
책을 출간했습니다.
2020년부터 미국의 전쟁범죄, 반인륜 범죄 국제민간법정 진행중,
(여순항쟁, 대전 골령골 학살, 부산 미군세균실험 등)